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처님오신날 서울 사찰 위치 전화번호 봉은사 진관사 도선사 조계사 화계사

반응형
 
한국 전통사찰 소장문화재: 남양주 흥국사 대응보전(보존과학연구시리즈 1)
「보존과학연구시리즈」 제1권『한국 전통사찰 소장문화재』.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의 석가삼존불좌상, 불화, 단청문양과 벽화 등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한 책이다. 불화의 조성배경과 현상 및 도상이 특징, 대웅보전 단청문양과 벽화의 체목부, 공포부, 천정부, 내부 벽화 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저자
양희제
출판
인문사
출판일
2012.10.11
 
산사의 숲 초록에 젖다(108 사찰 생태기행 03)
사찰생태연구가 김재일이 들려주는 산사의 숲 속 생명 이야기「108 사찰 생태기행」시리즈. 7년간 이 땅의 산하에 수많은 발자국을 남긴 저자의 여정을 기록한 시리즈로, 총 10권의 책에 담아낼 예정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사찰 숲의 모습을 미래의 후손들에게 전해주고자 했다. 전국 108개 사찰의 생태를 꼼꼼히 돌아보고, 생생한 사진을 곁들여 소개한다. 이 시리즈는 산사의 숲에서 살아가는 동식물을 비롯하여 그곳에 놓인 탑이나 바위 등 산사의 숲에 들어섰을 때 만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기록이다. 산사의 숲 속 생태는 물론, 산사의 숲 속에 또 다른 숲으로 존재하는 문화유산까지 생태적 시각으로 소개한다. 먼저 사찰이 자리 잡은 산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사찰과 그 주변을 세부적으로 돌아본다. 세 번째 책인 『산사의 숲, 초록에 젖다』에서는 더위에 꽃들도 잠시 쉰다는 한여름, 울울창창한 나무와 이름 없는 들꽃이 사이좋게 어우러지는 숲 속 도솔천을 찾아 열한 곳의 산사의 숲을 찾아 거닌다. 힘찬 물줄기 속 승천하는 용의 기상을 만날 수 있는, 경기 양평 용문산 용문사. 대자연의 보고 속에 자리 잡은 신라 고찰, 강원 속초 설악산 신흥사. 투명한 햇살 아래 눈부신 초록 향연, 대구 팔공산 동화사 등 나비와 들꽃, 나무와 풀, 곤충과 새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진 산사의 숲을 만날 수 있다. 전체컬러.
저자
김재일
출판
지성사
출판일
2009.07.15

부처님오신날 사찰 


봉은사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531

봉은사역 1번출구에서 가까움

0507-1429-4800

간략소개

현재는 고층에 둘러쌓여 그 옛날의 모습은 온전히 남아 있지 않지만 서울의 새로운 중심지에 자리 잡고 

유구한 역사를 잔직한 채 은은한 법향을 펼치고 있으며 1200여 년의 유구한 역사와 조선조에는

조계종을 대표하는 선종 수찰이였다


길상사 

서울 성북구 선잠로5길 68 길상사

02-3672-5945

길상사는 대부분의 건물은 대원각 시절 그대로 사용중이다

경내에는 극락전 범종각 일주문 적묵당 지장전 설법전 종무소 관세음보살석상 길상화불자공적 등 배치가 되어있다고 한다


진관사

서울 은평구 진관길73 진관사

삼각산 서쪽 기슭에 있는 조계종 소속 고려시대의 고찰

02-359-8410

불암사 삼막사 보개산 심원사와 함께 한양 근교의 4대 사찰중 하나인 진관사

주변에는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 북한산성 도선사 문수사 망월사 승가사

천축사 화계사 서오릉 정릉 진흥왕순수비유지 등의 관광지가 있습니다


도선사

서울 강북구 삼앙로173길 504 도선사

02-993-3161

회향도량 도선사

북한산도선사 우이동절 우이동도선사

삼각산도선사

 

 

삼각산도선사

 

www.doseonsa.org


조계사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55

02-768-8600

대한불교조계종의 직할교구의 본사 이자 총 본사로써 중앙총문원 중앙종회 등이 있는 한국 불교의 중심지

 


 
한국 전통사찰 소장문화재: 남양주 흥국사 대응보전(보존과학연구시리즈 1)
「보존과학연구시리즈」 제1권『한국 전통사찰 소장문화재』.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의 석가삼존불좌상, 불화, 단청문양과 벽화 등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한 책이다. 불화의 조성배경과 현상 및 도상이 특징, 대웅보전 단청문양과 벽화의 체목부, 공포부, 천정부, 내부 벽화 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저자
양희제
출판
인문사
출판일
2012.10.11
 
산사의 숲 초록에 젖다(108 사찰 생태기행 03)
사찰생태연구가 김재일이 들려주는 산사의 숲 속 생명 이야기「108 사찰 생태기행」시리즈. 7년간 이 땅의 산하에 수많은 발자국을 남긴 저자의 여정을 기록한 시리즈로, 총 10권의 책에 담아낼 예정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사찰 숲의 모습을 미래의 후손들에게 전해주고자 했다. 전국 108개 사찰의 생태를 꼼꼼히 돌아보고, 생생한 사진을 곁들여 소개한다. 이 시리즈는 산사의 숲에서 살아가는 동식물을 비롯하여 그곳에 놓인 탑이나 바위 등 산사의 숲에 들어섰을 때 만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기록이다. 산사의 숲 속 생태는 물론, 산사의 숲 속에 또 다른 숲으로 존재하는 문화유산까지 생태적 시각으로 소개한다. 먼저 사찰이 자리 잡은 산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사찰과 그 주변을 세부적으로 돌아본다. 세 번째 책인 『산사의 숲, 초록에 젖다』에서는 더위에 꽃들도 잠시 쉰다는 한여름, 울울창창한 나무와 이름 없는 들꽃이 사이좋게 어우러지는 숲 속 도솔천을 찾아 열한 곳의 산사의 숲을 찾아 거닌다. 힘찬 물줄기 속 승천하는 용의 기상을 만날 수 있는, 경기 양평 용문산 용문사. 대자연의 보고 속에 자리 잡은 신라 고찰, 강원 속초 설악산 신흥사. 투명한 햇살 아래 눈부신 초록 향연, 대구 팔공산 동화사 등 나비와 들꽃, 나무와 풀, 곤충과 새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진 산사의 숲을 만날 수 있다. 전체컬러.
저자
김재일
출판
지성사
출판일
2009.07.15
 
Wookwan’s Korean Temple Food(우관의 한국사찰음식)
“As the many waters of the world flow into the ocean to become one taste, all the flavors in the world merge to become one taste of enlightenment.” And so begins Wookwan’s volume of Korean Temple Food. Buddhist nun and chef Wookwan breaks the boundaries of spiritual exercise and culinary practice in this first-of-its-kind cookbook of Korean temple cuisine. As the first volume of temple cuisine published in English, Wookwan herself has written a meditative, elegant volume that introduces the reader to Korean temple food, including what it means to care for the ingredients at each step of preparation, following the three key principles of cooking temple food, interspersed with her own accounts and tips among the recipes. With her mastery of the ingredients and with the experience of having shared Korean temple cuisine all over the world, Wookwan is able to connect with the preparer, gently guiding at each step. Korean temple food has been practicing what we now call the “farm-to-table” concept, using ingredients that are only homegrown or naturally cultivated, combined with an eco-friendly, clean eating mindfulness with a history of over 1500 years. It is also mindful vegetarian cuisine; it does not use any animal products save for some dairy ingredients, nor does it use the “five spicy vegetables,” green onions, garlic, chives, leeks, and onions that are thought to distract the mind; instead, flavors are precisely crafted by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ingredients and their natural aromas. Temple cuisine holds at its very core a reverence for life, and Wookwan’s 41 meticulous recipes embody her philosophy and conscientiousness for nourishing the not only the body, but the soul. Techniques such as fermentation and creating natural extracts and broths are included in this cookbook, as well as ways to substitute ingredients that are more readily found to recreate the very flavors of the Dorak Mountains right at home. 대표적인 채식 요리이자 슬로푸드인 한국사찰음식을 주제로 한 최초의 영문 입문서이자 요리책 사찰음식은 우유와 유제품을 제외한 동물성 식품과 오신채(매운맛을 내는 다섯 가지 채소)인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곡식 한 톨에 담긴 자연과 농부의 노고에 고마움을 느끼며, 음식을 몸을 유지하는 약으로 여겨 적절한 양만 덜어 먹기에 잔반이 생기지 않는다. 이를 통해 절약 정신을 기를 뿐 아니라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사찰음식은 한국의 전통 식문화와 접목되어 내려온 자연식이자 건강식이며 수행식이다. 우관의 한국사찰음식은 영문으로 소개되는 최초의 요리책인 만큼 한국사찰음식의 특징, 역사, 양념 등에 대한 설명을 담았다. 또한 지난 10년 이상 한국과 전세계 각지의 초청을 받아 한국사찰음식을 선보여온 한국사찰음식의 대가, 우관의 깨달음의 맛에 대한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41개의 요리법을 소개한다. 요리법별로 주요 식재료에 대한 특징과 언제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우관만의 팁도 함께 들어있으며, 특히 Part 3에서는 동서양이 함께하고 사람과 사람이 함께한다는 취지로 서양 식재료에 한국식 발효 양념을 사용하여 누구나 집에서 간단하게 요리할 수 있는 손쉬운 조리법을 소개하였다.
저자
Wookwan
출판
ICP
출판일
2018.05.07
 
월정사의 유래와 한강의 시원(개정판)(사찰연구총서 1)(양장본 HardCover)
한국불교의 사찰에 대해 연구하는 「사찰연구총서」 제1권 『월정사의 유래와 한강의 시원』. 자현 스님이 북한의 금강산과 더불어 남한에서는 유일한 성지 개념이 존재하는 산인 오대산에 자리한 월정사와 관련하여 발표한 논문 6편을 엮었다.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화엄성지로서 한국 최고의 명단인 월정사와 그가 자리한 오대산에 관한 종합적이고 전문적 연구를 집성했다.
저자
자현
출판
운주사
출판일
2011.11.12
 
한국 사찰의 주련 2
우리나라 전통 사찰의 주련을 조사 수집하고 해석한 불교 대학 교수의 저술.
저자
권영한
출판
전원문화사
출판일
2016.09.10
 
사찰 벽화 이야기
이 책은 사찰 외벽에 그려진 벽화를 통해 16가지의 불교 철학을 살펴보는 청소년을 위한 불교 인문 교양서입니다. 각 장마다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읽는 ‘벽화’와 ‘벽화에 얽힌 이야기’, 그리고 벽화 이야기 속에 담긴 ‘불교의 사유와 실천’에 대한 내용을 우리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해서 실었습니다. 이 책에 나오는 불교 ‘벽화’는 합천 해인사, 단양 구인사, 순천 송광사, 서울 개운사 등의 사찰에서 우리가 쉽게 만날 수 있는 벽화들입니다. 사찰 벽화는 불교 경전, 역사, 사상 등이 녹아 있어 그 자체만으로도 불교 공부에 훌륭한 재료가 됩니다. 벽화가 설명 없이 그림으로만 압축되어 있어서 그 의미를 선뜻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벽화에 얽힌 이야기’부터 차근차근 읽다 보면 재미있고 풍성하게 불교를 만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저자
강호진
출판
철수와영희
출판일
2014.05.06
 
사찰건축의 발생과 불교건축의 이해(CD1장포함)
▶ 이 책은 사찰건축의 발생과 불교건축의 이해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저자
화인출판사 편집부
출판
화인출판사
출판일
2019.03.30
 
전등사 보문사 : 강화 (가족과함께떠나는사찰여행 6)
한반도 허리 왼쪽, 김포반도를 사이에 두고 마치 용처럼 염하가 흐르는 천연의 요새가 강화다.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인 강화도에는 단군이 하늘에 제사지냈다는 참성단부터 개화기 때의 격전지까지 우리나라 역사를 축소해놓은 듯하다. 전등사와 정수사, 보문사 등 8곳의 전통 사찰과 30여 곳의 절터 또한 강화의 소중한 자원이다. 강화의 전등사와 보문사에 대한 사진·역사적 의의·위치 등을 상세하게 수록했다.
저자
우리사찰답사회
출판
문예마당
출판일
2001.12.15
 
산사의 숲 녹음에 들다(108 사찰 생태기행 9)
『산사의 숲, 녹음에 들다』는 7년간 산사의 행적을 따라 여행한 저자의 산사 이야기다. 사찰에 대한 기록뿐만 아니라 산사 주변의 숲과 동식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가득 담아 자연과 생명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를 펼쳐놓는다.
저자
김재일
출판
지성사
출판일
2010.11.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