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금용 소득평가액 계산 방법과 예시

반응형

연금용 소득평가액 항목별 계산 예시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연금용 소득평가액 계산 방법과 예시

1. 연금용 소득평가액이란?

연금용 소득평가액은 실제 받는 소득 중에서 근로소득, 사업소득, 임대소득, 연금소득 등 여러 항목을 평가해 계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공적 복지 수급 자격 판단 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 소득평가항목별 계산 방법

① 근로소득

매월 받는 급여(세전 금액)에서 기본공제 110만 원을 먼저 뺍니다.

잔액에 30%를 추가로 공제합니다(근로의욕 저하 방지를 위한 지원책).

예) 월 200만 원 근로소득 시

계산: (200만 원 - 110만 원) × 0.7 = 63만 원

② 사업소득 (도소매, 제조, 서비스업 등)

국세청 반영 소득 자료 기준으로 실제 소득을 적용

필요 경비 등은 별도 공제 후 과세자료 반영

 

 

반응형

 

 

 

③ 임대소득

임대료 수입에서 필요경비 42.6%를 공제

예) 월 임대료 100만 원 시

계산: 100만 원 × (1 - 0.426) = 57.4만 원

④ 이자·배당소득

금융기관 이자, 주식 배당소득 포함

월 이자소득에서 기본공제 4만 원 차감

⑤ 연금소득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및 사적연금 수령액 포함

공적연금은 전액 소득평가액에 반영

사적연금 등은 별도 평가 기준 적용

⑥ 공적 이전소득

기초연금, 생활비보조금 등 정부 이전소득 포함

⑦ 무료 임차소득

무상 임차 주택에 거주 시 임차료에 상응하는 소득으로 평가

3. 계산 예시 총정리

소득 종류 월 소득 금액 적용 공제율 및 계산식 소득평가액 (만원)

근로소득 200만 원 (200 - 110) × 0.7 63

사업소득 120만 원 국세청 신고 소득 그대로 반영 120

임대소득 100만 원 100 × (1 - 0.426) 57.4

이자소득 10만 원 10 - 4 6

연금소득 50만 원 전액 반영 50

공적 이전소득 30만 원 전액 반영 30

무료 임차소득 20만 원 전액 반영 20

총 소득평가액 합계 = 63 + 120 + 57.4 + 6 + 50 + 30 + 20 = 346.4만 원

4. 유의사항

소득평가액 산정은 각 항목별 공제와 반영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월별 소득 변동은 연평균이나 공적 자료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실제 소득과 공적자료간 차이가 있을 경우 보완자료 제출로 조정 가능

복잡하거나 궁금하면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복지 상담센터에 문의

연금 소득평가액 산출은 소득공제와 평가방식이 까다로울 수 있으니 정확한 사례별 계산은 반드시 전문 상담과 공식 모의계산기를 활용해주세요.

반응형